15.구글 드라이브 설계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15장을 요약한 내용입니다.
1단계: 문제 이해 및 설계 범위 확정
설계 범위
파일 추가
가장 쉬운 방법은 파일을 구글 드라이브 안으로 drag-and-grop 하기
파일 다운로드
여러 단말에 파일 동기화
한 단말에서 파일을 추갛면 다른 단말에도 자동으로 동기화
파일 갱신 이력 조회
파일 공유
파일 편집/삭제 혹은 공유 시 알림 표시
논의하지 않을 내용
구글 문서 편집 및 협업 기능
비-기능적 요구사항
안정성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면 안 된다.
빠른 동기화 속도
파일 동기화에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면 사용자는 인내심을 잃고 해당 제품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을 수있다.
네트워크 대역폭
네트워크 대역폭을 불필요하게 많이 소모하면 사용자가 좋아하지 않을 것이다.
규모 확장성
아주많은 양의 트래픽도 처리 가능해야 한다.
높은 가용성
일부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느려지거나, 네트워크 일부가 끊겨도 시스템은 계속 사용 가능해야 한다.
개략적 추정치
가입 사용자는 오천만(50million) 명이고 천만 명의 DAU 사용자가 있다고 가정
모든 사용자에게 10GB의 무료 저장공간 할당
매일 각 사용자가 평균 2개의 파일을 업로드한다고 가정
각 파일의 평균 크기는 500KB
읽기:쓰기 비율은 1:1
필요한 저장 공간 총량 : 5천만 사용자 x 10GB = 500PB
업로드 API QPS = 1천만 사용자 x 2회 업로드 / 24시간 / 3600초 = 약 240
최대 QPS = QPS x 2 = 480
2단계: 개략적 설계안
모든 것을 담은 한 대 서버에서 출발해 점진적으로 천만 사용자 지원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발전시켜 나가 보자.
파일을 올리고 다운로드 하는 과정을 처리할 웹 서버
사용자 데이터, 로그인 정보, 파일 정보 등의 메타데이터를 보관할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저장할 저장소 시스템, 파일 저장을 위해 1TB의 공간을 사용
API
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세 가지의 API가 필요하다.
파일 업로드 API
단순 업로드: 파일 크기가 작을 때 사용
이어 올리기: 파일 사이즈가 크고 네트워크 문제로 업로드가 중단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될 때 사용
인자
uploadType=resumable
data : 업로드할 로컬 파일
이어 올리기의 3단계 절차
(1) 이어 올리기 URL을 받기 위한 최초 요청 전송
(2)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업로드 상태 모니터링
(3) 업로드에 장애가 발생하면 장애 발생 시점부터 업로드를 재시작
.
파일 다운로드 API
인자
path : 다운로드할 파일의 경로
.
파일 갱신 히스토리 API
인자
path : 갱신 히스토리를 가져올 파일의 경로
limit : 히스토리 길이의 최대치
모든 API는 사용자 인증을 필요로 하고 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한다.
SSL(Secure Socket Layer)를 지원하는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이유는 클아이언트와 백엔드 서버가 주고 받는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한 대 서버 제약 극복
업로드되는 파일이 많아지다 보면 결국 파일 시스템은 가득 차게 된다.
가장 먼저 떠오르는 해결책은 데이터를 샤딩하여 여러 서버에 나누어 저장하는 것이다.
user_id 기준으로 샤딩한 예제
시장 주도 기업(넷플릭스, 에어비엔비)들은 저장소로 아마존 S3를 사용한다.
AWS S3(Simple Storage Service)는 업계 최고 수준의 규모 확장성, 가용성, 보안, 성능을 제공하는 객체 저장소 서비스이다.
데이터 다중화는 같은 지역 안에서만 할 수도, 여러 지역에 걸쳐 할 수도 있다.
여러 지역에 걸쳐 다중화하면 데이터 손실을 막고 가용성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다.
추가로 연구해볼 수 있는 개선점
로드밸런서
: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산하기 위해 로드밸런서를 사용로드밸런서는 트래픽을 고르게 분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정 웹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해당 서버를 우회
웹 서버
: 로드밸런서를 추가하고 나면 더 많은 웹 서버를 손쉽게 추가할 수 있다.트래픽이 폭중해도 쉽게 대응 가능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를 파일 저장 서버에서 분리하여 SPOF(Single Point of Failuer)를 회피다중화 및 샤딩 정책을 적용하여 가용성과 규모 확장성 요구사항에 대응
파일 저장소
: S3를 파일 저장소로 사용하고 가용성과 데이터 무손실을 보장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지역에 데이터를 다중화
동기화 충돌
대형 저장소 시스템의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같은 파일이나 폴더를 동시에 업데이트하려고 할 경우 때때로 동기화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먼저 처리되는 변경은 성공, 나중에 처리되는 변경을 충돌이 발생한 것으로 표시하여 해소할 수 있다.
충돌로 발생한 오류를 해결하는 방법
오류가 발생한 시점에 이 시스템에는 같은 파일의 두 가지 버전이 존재하게 된다.
사용자 2가 가지고 있는 로컬 사본과 서버에 있는 최신 버전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두 파일을 하나로 합칠지, 둘 중 하나를 다른 파일로 대체할지 결정해야 한다.
개략적 설계안
구글 드라이브의 개략적 설계안
사용자 단말
: 사용자가 이용하는 웹브라우저나 모바일 앱 등의 클라이언트
블록 저장소 서버
(block server): 파일 블록을 클라우드 저장소에 업로드하는 서버
블록 수준 저장소라고도 하며,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는 기술
파일을 여러개의 블록으로 나눠 저장하며, 각 블록에는 고유한 해시값이 할당
해시값은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각 블록(4MB)은 독립적인 객체로 취급되며 클라우드 저장소 시스템에 보관
파일을 재구성하려면 블록들을 원래 순서대로 합쳐야 한다.
클라우드 저장소
: 파일은 블록 단위로 나눠져 클라우드 저장소에 보관
아카이빙 저장소
: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은 비활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
로드밸런서
: 요청을 모든 API 서버에 고르게 분산하는 구실
API 서버
: 파일 업로드 외에 거의 모든 것을 담당하는 서버
사용자 인증, 사용자 프로파일 관리, 파일 메타데이터 갱신 등에 사용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
: 사용자, 파일, 블록, 버전 등의 메타데이터 정보를 관리
실제 파일은 클라우드에 보관하며, 이 데이터베이스에는 오직 메타데이터만 둔다.
메타데이터 캐시
: 성능을 높이기 위해 자주 쓰이는 메타데이터는 캐시
알림 서비스
: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클라이언트에게 알리는데 쓰이는 발생/구독 프로토콜 기반 시스템
파일 추가/편집/삭제 알림 등
오프라인 사용자 백업 큐
: 클라이언트가 접속 중이 아니라서 파일의 최신 상태를 확인할 수 없을 때는 해당 정보를 이 큐에 두어 나중에 클라이언트가 접속했을 때 동기화될 수 있도록 한다.
3단계: 상세 설계
블록 저장소 서버
정기적으로 갱신되는 큰 파일들은 업데이트가 일어날 때마다 전체 파일을 서버로 보내면 네트워크 대역폭을 많이 잡아먹게 된다.
이를 최적화하는 방법은 두 가지 정도가 있다.
델타 동기화
(delta sync)
파일이 수정되면 전체 파일 대신 수정이 일어난 블록만 동기화
압축
(compression)
블록 단위로 압축해 두면 데이터 크기를 많이 줄일 수 있다.
압축 알고리즘은 파일 유형에 따라 정한다.
블록 저장소 서버는 파일 업로드에 관계된 힘든 일을 처리하는 컴포넌트
클라이언트가 보낸 파일을 블록 단위로 나누고
각 블록에 압축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암호화까지 진행
전체 파일을 저장소 시스템으로 보내는 대신 수정된 블록만 전송
새 파일이 추가되었을 때 블록 젖아소 서버의 동작
주어진 파일을 작은 블록들로 분할
각 블록을 압축
클라우드 저장소로 보내기 전에 암호호
클라우드 저장소로 전송
델타 동기화 전략의 동작
델타 동기화 전략과 압축 알고리즘으로 네트워크 대역폭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높은 일관성 요구사항
이 시스템은 강한 일관성 모델을 기본으로 지원
같은 파일이 단말이나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것은 허용할 수 없음
메타데이터 캐시와 데이터베이스 계층에도 같은 원칙 적용
메모리 캐시는 보통 결과적 일관성 모델을 지원, 따라서 강한 일관성을 달성하려면 아래 사항을 보장
캐시에 보관된 사본과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원본이 일치
데이터베이스에 보관된 원본에 변경이 발생하면 캐시에 있는 사본을 무효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ACID(Atomicity, Consistency, Isolation, Durability)를 보장하므로 강한 일관성을 보장하기 쉽다.
하지만, NoSQL은 이를 기본으로 지원하지 않으므로, 동기화 로직 안에 프로그램해 넣어야 한다.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
(중요한 것만 간추린 단순화된 형태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설계안
user
이름, 이메일 프로파일 사진 등 사용자에 관계된 기본적 정보들이 보관
device
단말 정보가 보관
push_id는 모바일 푸시 알림을 보내고 받기 위한 것
한 사용자가 여러 대의 단말을 가질 수 있음에 유의
namespace
사용자의 루트 디렉터리 정보가 보관
file
파일의 최신 정보가 보관
file_version
파일의 갱신 이력이 보관되는 테이블(읽기 전용)
갱신 이력이 훼손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
block
파일 블록에 대한 정보를 보관하는 테이블
특정 버전의 파일은 파일 블록을 올바른 순서로 조합하기만 하면 복원 가능
업로드 절차
사용자가 파일을 업로드하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병렬적으로 전송되는 두 개의 요청
파일 메타데이터를 추가하기 위한 요청
파일을 클라우드 저장소로 업로드하기 위한 요청
파일 메타데이터 추가
(1) 클라이언트 1이 새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추가하기 위한 요청 전송
(2) 새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업로드 상태를 대기중으로 변경
(3) 새 파일이 추가되었음을 알림 서비스에 통지
(4) 알림 서비스는 관련된 클라이언트(2)에게 파일이 업로드되고 있음을 알림
파일을 클라우드 저장소에 업로드
(2.1) 클라이언트 1이 파일을 블록 저장소 서버에 업로드
(2.2) 블록 저장소 서버는 파일을 블록 단위로 쪼갠 다음 압축하고 암호화 한 다음 클라우드 저장소에 전송
(2.3) 업로드가 끝나면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완료 콜백을 호출. 이 호출은 API 서버로 전송
(2.4) 메타데이터 DB에 기록된 해당 파일의 상태를 완료로 변경
(2.5) 알림 서비스에 파일 업로드가 끝났음을 통지
(2.6) 알림 서비스는 관련된 클라이언트(2)에게 파일 업로드가 끝났음을 알림
파일을 수정하는 경우에도 흐름은 비슷하다.
다운로드 절차
파일이 새로 추가되거나 편집되면 자동으로 시작
다른 클라이언트가 파일을 편집하거나 추가했다는 사실을 감지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클라이언트 A가 접속 중이고 다른 클라이언트가 파일을 변경하면, 알림 서비스가 클라이언트 A에게 변경이 발생했으니 새 버전을 끌어가야 한다고 알린다.
클라이언트 A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가 아닐 경우, 데이터는 캐시에 보관될 것이다. 해당 클라이언트의 상태가 접속 중으로 바뀌면 그때 해당 클라이언트는 새 버전을 가지고 간다.
특정 파일이 변경되었음을 감지한 클라이언트는 우선 API 서버를 통해 메타데이터를 새로 가져가야 하고, 그 다음에 블록들을 다운받아 파일을 재구성해야 한다.
(1) 알림 서비스가 클라이언트 2에게 누군가 파일을 변경했음을 알림
(2) 알림을 확인한 클라이언트 2는 새로운 메타데이터를 요청
(3) API 서버는 메타데이터 DB에게 새 메타데이터 요청
(4) API 서버에게 새 메타데이터가 반환
(5) 클라이언트 2에게 새 메타데이터가 반환
(6) 클라이언트 2는 새 메타데이터를 받는 즉시 블록 다운로드 요청 전송
(7) 블록 저장소 서버는 클라우드 저장소에서 블록 다운로드
(8) 클라우드 저장소는 블록 서버에 요청된 블록 반환
(9) 블록 저장소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요청된 블록 반환
클라이언트 2는 전송된 블록을 사용하여 파일 재구성
알림 서비스
알림 서비스는 파일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클라이언트가 로컬에서 파일이 수정되었음을 감지하는 순간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그 사실을 알리는 목적으로 이용된다.
단순하게 이벤트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들로 보내는 서비스
두 가지 정도의 선택지가 있다.
long polling
: 드롭박스가 채택한 방식WebSocket
: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지속적인 통신 채널을 제공양방향 통신 가능
본 설계안에서는 롱 폴링을 선택
채팅 서비스와 달리 알림 서비스와 양방향 통신이 불필요
서버는 파일이 변경된 사실을 클라이언트에게 알려주어야 하지만 반대 방향의 통신은 요구되지 않음
웹소켓은 실시간 양방향 통신이 요구되는 채팅 같은 응용에 적합
구글 드라이브의 경우 알림을 보낼 일은 그렇게 자주 발생하지 않으며, 알림을 보내야 하는 경우에도 단시간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보낼 일이 없다.
롱 폴링 방안을 쓰면 각 클라이언트는 알림 서버와 롱 폴링용 연결을 유지하다가 특정 파일에 대한 변경을 감지하면 해당 연결을 끊는다.
이때 클라이언트는 반드시 메타데이터 서버와 연결해 파일의 최신 내역을 다운로드 해야 한다.
해당 다운로드 작업이 끝났거나 연결 타임아웃 시간에 도달한 경우 즉시 새 요청을 보내어 롱 폴링 연결을 복원하고 유지해야 한다.
파일 저장소 공간
파일 갱신 이력을 보존하고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파일의 여러 버전을 여러 데이터센터에 보관할 필요가 있다.
이 상황에서 모든 버전을 자주 백업하게 되면 저장용량이 너무 빨리 소진될 가능성이 있다.
이 문제를 피하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보통 세 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1) 중복 제거(de-dupe)
중복된 파일 블록을 계정 차원에서 제거하는 방법
두 블록이 같은 블록인지는 해시 값을 비교하여 판단
(2) 지능적 백업 전략을 도입
한도 설정: 보관해야 하는 파일 버전 개수에 상한 두기
상한에 도달하면 제일 오래된 버전을 버린다.
중요한 버전만 보관: 어떤 파일은 자주 번경된다.
불필요한 버전과 사본이 만들어지는 것을 피하려면 그 가운데 중요한 것만 골라내야 한다.
(3) 자주 쓰이지 않는 데이터는 아카이빙 저장소로 옮긴다.
몇달 혹은 수년간 이용되지 않은 데이터가 이에 해당
아마존 S3 glacier 같은 아카이빙 저장소는 S3보다 저렴
장애 처리 흐름
다루면 좋을 부류의 장애
로드밸런서 장애
부(secondary) 로드밸런서가 활성화되어 트래픽을 이어받아야 한다.
로드 밸런서끼리는 보통 박동 신호를 주기적으로 보내서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일정 시간 동안 박동 신호에 응답하지 않는 로드밸런서는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
블록 저장소 서버 장애
다른 서버가 미완료 상태 또는 대기 상태인 작업을 이어받아야 한다.
클라우드 저장소 장애
S3버킷은 여러 지역에 다중화가 가능하므로, 한 지역에서 장애가 발생하였다면 다른 지역에서 파일을 가져오면 된다.
API 서버 장애
API 서버들은 무상태 서버이다.
따라서 로드밸런서는 API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면 트래픽을 해당 서버로 보내지 않음으로써 장애 서버를 격리
메타데이터 캐시 장애
메타데이터 캐시 서버도 다중화
따라서 한 노드에 장애가 생겨도 다른 노드에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
장애가 발생한 서버는 새 서버로 교체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 장애
주 데이터베이스 서버 장애
부 DB 서버 가운데 하나를 주 DB 서버로 바꾸고, 부 DB 서버를 새로 하나 추가
부 데이터베이스 서버 장애
다른 부 DB 서버가 읽기 연산을 처리하도록 하고 그동안 장애 서버는 새 것으로 교체
알림 서비스 장애
접속 중인 모든 사용자는 알림 서버와 롱 폴링 연결을 유지
알림 서비스는 많은 사용자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관리해야 한다.
한 대 서버로 백만 개 이상의 접속을 유지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동시에 백만 개 접속을 시작하는 것은 불가
롱 폴링 연결을 복구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느릴 수 있다.
오프라인 사용자 백업 큐 장애
이 큐 또한 다중화를 해야 한다.
큐에 장애가 발생하면 구독 중인 클라이언트들은 백업 큐로 구독 관계를 재설정해야 한다.
4단계: 마무리
구글 드라이브 시스템 설계
높은 수준의 일관성
낮은 네트워크 지연
빠른 동기화
크게 두 가지 부분으로 구성된 설계안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는 부분
파일 동기화를 처리하는 부분
알림 서비스로 이 두 부분과 병존하는 또 하나의 중요 컴포넌트
롱 폴링을 사용하여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파일의 상태를 최신으로 유지
Last updated